2025/03/31 4

조선시대 양반주택을 통해 본 전통한옥에서의 생활

1. 조선시대의 유교조선시대의 유교는 이상향으로서의 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치에 기반을 두고 있는 충효를 내세웠다. 국가와 가족의 운영을 동일한 관점에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국가의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 가족(가문)을 중요시 하였다. 또한 가족의 구성원인 한 개인은 상과 후손을 잇는 중간자였으며, 조상의 가르침과 사상을 후손에게 전해야 하는 전달자였다. 이러한 가문의 계승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 조선시대 중기이후 각 성씨별로 편찬 간생되기 시작하였던 족보이다. 같은 시조로부터 비롯한 중시조와 다른 본관까지 그 계승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대동보를 비롯하여 어느 한 파의 계승과정을 담고 있는 세보 혹은 파보와 같은 족보는 종으로는 혈통관계를 밝히고 횡으로는 동족관계를 기록하고 있다.   2. ..

한옥 2025.03.31

한옥에 숨은 과학

한옥은 단순한 전통 건축물로서의 의미를 넘어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과학적 설계가 적용된 건축 방식이다.1. 자연환경 조절체계(배산임수)배산임수(背山臨水)는 '뒤로는 산을 두고, 앞으로는 물을 바라본다'는 뜻이다.즉,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는 지형이나 위치를 의미한다.전통적으로 이 위치는 풍수지리적으로 가장 좋은 자리로 여겨졌다.산을 등진다는 건 산이 바람을 막아주고, 추위로부터 보호해 준다는 의미이다.물을 바라본다는 건 물이 있는 곳은 농사나 생활에 유리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는 장점이 있다.이런 배산임수의 개념은 한옥을 지을 때도 많이 고려됐다.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한옥 건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2. 계절에 따른 빛의 유입양 조절(처마)한옥의 처마에는 여러 가지 과학..

한옥 2025.03.31

한옥에 쓰이는 흙과 흙건축, 건강한 집

1. 흙의 특성과 한옥에서의 활용한옥 건축에서 중요한 재료 중 하나는 흙이다. 흙은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서, 환경 친화적이며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흙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공기 정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흙의 입자 크기와 혼합 방식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한옥에서는 용도에 따라 적합한 흙을 선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벽체를 구성할 때 사용되는 흙은 점성이 높아 견고하게 굳어지는 특징이 있는 반면, 바닥을 구성하는 흙은 압축성과 단열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전통적인 한옥에서는 흙을 이용해 벽체와 바닥, 지붕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흙벽은 자연에서 채취한 흙을 물과 섞어 일정한 형태로 ..

한옥 2025.03.31

한옥 전통온돌의 개요

1. 온돌의 정의와 기원한옥의 전통적인 난방 방식인 온돌(溫突)은, 바닥을 따뜻하게 만들어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한국 고유의 난방 시스템이다. '온돌'이라는 단어는 따뜻함을 의미하는 '온(溫)'과 구멍을 뜻하는 '돌(突)'에서 유래되었으며, 온기를 돌려 바닥을 데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온돌은 단순히 난방을 위한 기술적 시스템을 넘어서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문화적·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고대부터 사용된 온돌은 초기에는 단순한 난방 목적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발전하여 현대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온돌의 기원은 기원전 1000년경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신석기 시대의 화덕과 연관이 깊다. 초기 형태는 땅을 파고 불을 피워 난방을 하는 방식으로, 시..

한옥 2025.03.31